본문 바로가기
원자재

최근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비철금속(몰리브덴, 코발트, 우라늄) 알아보기

by 무면 2023. 10. 24.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근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비철금속인 몰리브덴, 코발트, 우라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몰리브덴(Molybdenum)

몰리브덴은 주기율표 64족에 속하는 은백색의 광택을 내는 크롬족 원소 중 하나로 1778년 스웨덴의 화학자 Carl Wilhelm Scheele가 처음 발견하였다. 원소 기호는 M0, 원자번호는 42번, 녹는점이 2,610˚C, 끓는점이 4,640˚C로 우리 몸의 생리 작용에 꼭 필요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보통 몰리브덴은 구리 광산의 구리 채굴 시 발생하는 부산물로 알려져 있다. 몰리브덴은 녹는점과 끓는점이 높아 극한의 온도에도 견딜 수 있고 부식에도 강하다. 또한 철의 최대 결저인 내식성 부족을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진 Stainless Steel의 제조 시 결정적으로 쓰이는 물질로 알려져 있고 산업용 모터나 항공 산업 제조 시에도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산업에서의 수요로 인하여 2010년 2월부터 LME에서도 몰리브덴 선물이 거래되기 시작하였다. 몰리브덴은  2018년 USGS 자료 기준으로 297,000톤 생산 중에 있으며 중국이 133,000톤(45%), 칠레 60,248(20%), 미국 41,400톤(14%) 순이다. LME에서 거래되는 몰리브덴 거래는 3개월까지의 일 단위 선물, 6개월까지의 주단위 선물, 15개월까지의 월 단위 선물과 Carry 거래만 있고 옵션 거래나 스왑 거래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른 주요 선물 거래와 달리 하루에 한 차례(12:00)의 링 거래가 있다. 

2. 코발트(Cobalt)

코발트는 주기율표 9족 4주기에 속하는 27번 원소로 주로 사용되는 곳은 도자기나 유리, 합금, 배터리 등으로 푸른색을 내는 원소로 알려져 있는데 1739년 처음 발견되었다. 코발트는 흔히 니켈의 부산물로 알려져 있고 주로 아프리카 콩고에서 많이 생산된다. 2017년 USGS 자료 기준 전 세계 코발트 생산량은 연간 120,000톤 정도이다. 콩고가 73,000톤(61%)으로 압도적인 생산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러시아가 5,900톤(5%)으로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쿠바와 호주도 연간 약 5,000톤을 생산함으로써 러시아와 비슷한 양을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몰리브덴과 마찬가지로 LME에서 2010년 2월부터 거래되기 시작한 코발트 거래는 3개월까지의 일 단위 선물, 6개월까지의 주 단위 선물, 15개월까지의 월 단위 선물과 Carry 거래만 있고 옵션 거래나 스왑 거래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른 주요 선물 거래와 달리 하루에 한 차례(12:20)의 링 거래가 있다. 

3. 우라늄(Uranium)

우라늄은 천연에 존재하는 방사성 원소들 중 하나로 최초로 발견된 천연 방사성 원소로 원자번호는 92번, 원소기호로 U이다.  사실 이런 방사성 원소들에는 우라늄, 플루토늄, 라듐, 세슘, 요오드 등이 있는데 방사능을 지녀 원자핵의 불안전성 때문에 스스로 방사선을 내면서 붕괴하는 원소들을 말한다. 방사성 원소는 크게 천연 방사성 원소와 인공적으로 만들 수 있는 인공 방사성 원소로 분류되는데 천연 방사성 원소는 우라늄, 라듐 등이 있고 인공 방사성 원소는 플루토늄, 세슘, 요오드 등이 있다. 우라늄은 주로 핵분열 연쇄 반응을 제어하면서 지속할 수 있도록 한 원자력 발전의 원자로나 핵무기 등에 주로 쓰인다. 공항 검색대나 병원의 엑스레이도 방사선의 일종이지만 그 양이 적기 때문에 위험하지 않지만 원자로와 같은 다량의 방사성의 물질이 농축되어 있는 시설은 노출 시 인체 및 환경에 크나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우라늄 광석은 전지구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만 세계 3대 우라늄 생산지는 캐나다, 미국, 호주를 꼽을 수 있다.

 

최근 전기차의 확대와 더불어 기술 발전이 이루어지면서 기존에 사용되지 않던 비철금속들의 사용량이 많이 증가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몰리브덴, 코발트, 우라늄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리튬 등도 사용량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과거에는 주목받지 못했던 원자재들이 새로운 기술의 등장과 더불어 각광을 받기도 하다. 앞으로는 또 어떤 원재료들이 인기 있는 아이템이 될지 살펴보는 것도 재밌는 사실이 될 것이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 드립니다. 

 

반응형